본문 바로가기
취업

AI 역량검사란? 2025년 취업 준비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모든 것

by p.story 2025. 6. 10.

✅ 본문 내용

2025년에도 여전히 많은 공기업과 대기업들이 AI 역량검사를 채용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.
AI 역량검사란 무엇인지,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, 어떻게 대비하면 좋을지 궁금하신 분들을 위해
정보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
 

🤖 AI 역량검사란?

AI 역량검사는 인공지능(AI) 기술을 활용해 지원자의 직무 역량, 인성, 행동 패턴 등을 평가하는 비대면 온라인 면접 또는 검사입니다.

주로 아래와 같은 목적으로 활용돼요:

  • 지원자의 태도·표정·말투 등 분석
  • 문제 해결 능력, 판단력, 집중력 측정
  • 비언어적 행동 분석 (시선, 표정 등)

특히 대면 면접이 어려운 경우,
또는 많은 지원자를 빠르게 평가해야 하는 공기업·대기업에서 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.

 

🧠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요?

 

AI 역량검사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조로 구성됩니다:

유형 설명
자기소개형 질문 "본인을 소개해주세요" , "지원동기는 무엇인가요?" 등
상황 제시형 질문 "팀원과 의견 충돌이 있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?" 등
역량 기반 게임형 테스트 숫자 기억력, 패턴 추론, 집중력 게임 등
표정 및 시선 추적 카메라 ON 상태에서 시선, 감정 변화 분석
 

모든 내용은 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녹화되며, AI가 비언어적 행동까지 분석합니다.

 

📈 AI 역량검사 도입 기업 예시

 

기업명 AI 역략검사 도입 여부
한국전력공사 ✅ 도입
코레일 ✅ 도입
한수원 ✅ 도입
CJ그룹 ✅ 도입
롯데그룹 ✅ 도입
신한은행 등 금융권 ✅ 도입 확대중
 

대부분의 기업에서는 서류 통과 후 AI 면접 또는 역량검사 단계를 진행합니다.

 

🧩 문제 예시

  1. 자기소개 (30초 내외로 말하기)
  2. 간단한 수열 암기 문제 (ex. 숫자 9개 제시 후 순서 기억)
  3. 상황 질문 (Ex. 팀 프로젝트 중 갈등 상황에서 당신의 행동은?)
  4. 집중력 게임 (ex. 특정 기호 빠르게 선택)

※ 문제는 정답도 중요하지만 문제 풀이 중 보이는 태도나 반응도 평가 대상이에요!

💡 준비 팁

  • 웹캠, 마이크 점검은 필수!
    • 카메라 해상도, 인터넷 환경 미리 확인하세요.
  • 표정 & 시선 정면 유지
    • 고개를 너무 자주 돌리거나 웃지 않으면 감점 요인 될 수 있어요.
  • 즉흥적 말하기 연습
    • 시간을 재고, 30초~1분 내 자기소개 및 상황 대답 연습해보세요.
  • 게임형 테스트 대비

 

 

✅ 마무리

 

AI 역량검사는 단순히 지식 평가가 아닌,
지원자의 태도, 상황 대응력, 집중력 등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는 미래형 평가 방식입니다.

2025년 이후에도 공기업과 대기업에서 채용의 중요한 한 단계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,
취업을 준비하신다면 지금부터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